재테크 생각

돈있다고 행복하지 않지만 돈이 없으면 무조건 불행하다

반응형

일상 생각 78

투자 마인드 : 투자는 멘탈 싸움. 건강한 멘탈은 체력으로부터 나온다

투자는 멘탈 싸움이다. 본인이 진입한 가격대가 저점일 확률? 거의 없다. 그만큼 개미가 저점 맞추기 어렵다. 하루 지나고보면 '왜 이 가격에 샀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음. 그래서 분할 매수, 보수적으로 접근하세요 이런 얘기가 많이 나온다. 아무튼 여러 방법을 쓰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익률이 -인 채로 오래 지내게 될 것이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멘탈. 투자하는데 있어서 멘탈이 나가면 거지되기 십상이다. 나의 경우 멘탈나가면 좋은 코인인데도 불안해서 손절하고, 손실을 복구하려 급등주에 올라타고 그런다. 이 모든 것은 결과적으로 최악의 손실을 만듦. 내 몸은 무기력해지고. 이런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동을 하여 체력을 길러야된다. 정말 쌩뚱맞아보이지만, 체력이 없으면 금방 멘탈이 무너진다. 하루..

일상 생각 2021.12.18

삼성맨 14년차가 말하는 대기업 퇴직 현실

요즘 디시인사이드에 작성된 글이 화제가 되며 퍼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잘나간다고 알려진 삼성 그룹 소속 14년차라고 소개한 작성자. 이 작성자가 14년째 회사 다니면서 퇴직자 현실에 대해 말함. 삼성 전자인지 삼성 전기인지, 어디 소속인지는 정확히 안알려줬는데, 공대쪽이긴 한 듯?? 아무 생각없이 보면 당연히 삼성전자라 생각하고 읽을 수 있는데, 삼성전자인지는 모르겠다. 삼성 공채 4X기고 40대다 회사 14년째 다니면서 퇴직자들 현실 알려줌 1. 석화든 기름집이든 현대든 어디든 정년 까지다닐수 있는 곳은 없다 나 취직할때만해도 현대중공업이 근속연수 17년이네 어쩌네 했지만 이미 구조조정 존나게 하고 다 40전에 짤렸고 전장부분 다 잘라내고 그것도 모자라서 합병해버렸지 대기업에서 정년까지 다니려면 회사..

일상 생각 2021.12.11

돈이 돈을 버는 세상. 돈을 일하게 만들자

자신의 계좌에 현금이 얼마나 있는지 보자. 현금이 많아서 기분이 좋은가? 그러면 조금 아쉽다. 그만큼 놀고있는 돈이 많다는 이야기니. 돈이 돈을 버는 세상. 처음엔 무슨 말인지 몰랐다. 그러나 주식을 해보고 코인 투자를 해보면서 느꼈다. 믿을만한 자산에 넣는 순간 돈은 일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테슬라에 넣어놓으면 일론 머스크와 테슬라가 열심히 일하며 신제품을 내놓고 사람들을 놀라게 한다. 놀란 사람들은 테슬라 주가를 높여준다. 현실의 나는 테슬라에 들어갈수도, 같이 일할 수도 없지만 주식을 사면 이들과 한 배에 타게 되는 것이다. 테슬라 직원들이 열심히 일을 하면 나도 돈을 버는 구조. 얼마나 말도 안되는 세상인가? 코인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이 열광할만한, 유망한 코인에 돈을 넣으면 어느새 그 돈이 돈을..

일상 생각 2021.12.09

최고의 명품은 돈 많은 통장이다

SNS가 발달하면서 많은 컨텐츠들이 우리의 소비욕구를 자랑한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랑할만한 명품을 사면서 인증샷을 통해 자랑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욕구를 이겨내냐 이겨내지 못하냐에 따라 얼마나 빨리 부를 쌓을 수 있는지 갈린다. 버는 돈 대비 소비가 많은 사람들은 부를 쌓기 힘들다. 매일 같이 욜로를 즐기며 힘들었던 나 자신에 대한 보상이라고 비싼 호텔과 자동차, 식당에 소비하는 사람. 과연 돈을 잘 모을 수 있을까?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이 아니라면 자랑하고 싶은 욕망이 결국 가난의 길을 걷게 만든다. 비싼 호텔 대신 마음에 드는 주식이나 코인을 하나 더 사면서 돈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부의 길로 진입할 최소한의 조건이 만들어진다. 명품 가방이나 옷, 차사며 돈 ..

일상 생각 2021.12.07

주말에도 전동 킥보드로 배달 일을 하는 사람들

주말에 잠깐 밥을 먹고 돌아오는 길, 전동 킥보드로 배달일 하는 사람을 보며 재테크에 대해 생각해봤다. 이분들은 주말에도 열심히 일을하며, 정말 대단한 분들임. 우리는 모두 많은 자산을 갖고 싶어 한다. 그렇다면 자산을 많이 모으는 데 매우 기본적인 태도는 무엇일까. 시작점은 무엇일까. 내가 생각하기엔 수익을 높이고 소비를 적게하는 것이다. 정말 당연한 이야기. 하지만 당연하다고 항상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본능과 반대로 행동하는 것이기에 오히려 지키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 주위엔 주말마다 술약속을 잡고, 미술관 혹은 인스타에 자랑할만한 곳을 가며 억눌려왔던 소비를 푸는 사람도 있고, 주말에 집에서 간단한 취미와 휴식을 취하는 사람이 있다. 혹은 배달이나 부업 등으로 수익을 내는 사람도 있겠지. 이런..

일상 생각 2021.11.27

주식과 코인이 불안하다고 예금과 적금에 돈 넣는 직장인들?

오늘 뉴스를 보다가 조금 신기한 기사를 봤다. 주식, 코인 못믿겠다고 직장인들의 피난처로 떠오른 곳이 있단다. 나는 그래서 어떤 투자 상품일까 설레하면서 기사를 누름. 기자가 정말 제목 잘뽑았다. 그것도 별거 아닌 내용으로. 은행 예적금에 돈 넣는단다.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는 연 이자 0.8%가 붙고, 기업은행이나 우리은행 적금은 약 2%까지 간단다. 만약 여기서 '주식 코인은 도박이고 정답은 예금이지' 이런 댓글 있었다면...정말 한숨이 엄청 나왔을 것 같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630926 "주식·코인 못 믿겠는데…" 직장인들에 피난처로 떠오른 곳 직장인 안현기 씨(35)는 지난달 초 토스뱅크 출범에 맞춰 입출금 통장 개설에 성공했다. 토스 앱에서..

일상 생각 2021.11.21

상승할거라는 건 이미 다 아는거라 상승 안한다고?

가끔 아주 신기한 주장을 펼치는 사람이 많다. 상승할거라는 건 이미 다 아는 거라 상승 안한다. 혹은 연말 불장올 것 누구나 다 알고있는데 세력이 개미 다태우고 가겠냐 등등... 이 주장이 맞으려면 사람들의 행동력이 정말 뛰어나야한다. 자신의 판단에 대해 확신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매수버튼은 누른다는 전제가 있어야한다. 하지만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처음 매매하는 사람이라면 몰라도 하락의 공포를 맛본 사람은 쉽게 매수하지 못한다. 오르지 않을까 생각을 하면서도 또다시 물리면 어쩌지 싶어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혹은 매수를 하더라도 길게 가져가지 못하고 금방 팔아버리지. 이게 보통 사람의 심리다. 이런 사람들이 매수하고 존버에 임할 때는 떨어질 때도 아니고 횡보할 때도 아닌, 수 많은 사람..

일상 생각 2021.11.13

주식 4억으로 500억 만든 카이스트 교수

과거 SBS방송에 소개되었던 4억으로 500억 번 카이스트 교수의 이야기다. 평범한 이유로 주식을 시작하고, 남들과 같은 방식으로 매수, 매도하며 점차 깨달았을 것이다. 남들과 비슷한 혹은 같은 방식으로 투자를 하다보면 결국 돈을 벌지 못한다는 것을. 돈을 벌려면 소수의 부자들처럼 투자해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 결과 11년 만에 4억원으로 500억을 달성. 이런 성공스토리에는 항상 결과만 부각되어 소개된다. 성공한 사람들이 성공하기까지 많은 좌절과 실패, 자괴감의 과정이 있다. 이를 겪지 않고 성공하는 것은 욕심이다. 나와 다른 사람이라 치부하며 무시하지 말고, 부자들이 하는 말을 계속 되새기며 나 자신을 세뇌시켜야한다. 매일같이 이들의 마인드를 읽고 또 읽고 배우다보면 나의 투자 마인드도..

일상 생각 2021.11.10

홍남기와 코인. 세금은 걷고 싶고 자산으로 인정하긴 싫고...

참 이중적인 태도다. 이미 금융거래가 활발한 나라들에서는 가상화폐를 자산으로 인정하지만, 우리나라만큼은 절대 자산으로 인정 안한단다. 아직까지 이게 왜 가격이 오르는지 이해가지 않고, 나라 경제를 망치는 주범일 뿐더러 국민들을 도박에 빠지게 하는 사기행위란다. 이러한 주장을 앞장서서 하는 사람이 바로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이다. 아무래도 기존 금융 시스템에 익숙하다보니 그럴 수 있겠지만, 자리가 자리인만큼 트렌드에 따라가는 모습도 보여야하지 않을까. 과세에 자신있다고 하는데, 예정된 과세 계획을 보면 자신있을 수 밖에 없다. 국세청에서 국민을 상대로 갑질하겠다고 엄포했으니까. 어디서 산 코인인지, 얼마에 산 코인인지 증명 못하면 모든 금액에 대해 양도세를 부과하겠다고 하니 자신있겠지. 하지만 국내에 이런..

일상 생각 2021.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