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생각

돈있다고 행복하지 않지만 돈이 없으면 무조건 불행하다

반응형

돈버는 법 509

남자친구 잠잘 때 지문인식으로 재산 확인한다는 여자

세상에는 진짜 별에별 사람이 있다. 누가보면 이미 가족인 줄 알것 같은 사연인데... 남자친구 잠잘 때 손으로 지문인식해서 계좌를 확인한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돈에 관련된 문제는 본인에게 직접 물어보는게 당연한 예의다. 왜냐고? 보통 사람들은 본인의 자산을 숨기고 싶어한다. 돈으로 평가받는 것이 싫고, 혹여나 사람들이 편견의 시선으로 바라볼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산이 얼마냐에 따라 사람들의 대우는 미묘하게 달라진다. 좋게든 안좋게든. 이런 상황을 피하고 싶어서 가까운 사람들에게조차 자산을 숨기는 경우가 많다. 만약 본인이 공개하고싶었다면 이미 사귀는 도중에 공개를 했을 것임. 게다가 중간에는 타인의 월급을 평가하며 이 정도면 평균인지 아닌지 따지는 것 조차...에브리타임 앱이면 나이대가 약 20..

일상 생각 2022.06.04

UST 1달러 디페깅되기 전 도권 테라폼랩스와 루나 고래가 던졌다는 보고서

Arcane Research라는 인터넷 사이트가 있다. 그냥 분석하는 사이트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여기서 도권의 테라폼랩스와 LUNA 고래가 UST 1달러 깨지기 전에 대규모 물량을 시장에 던졌다는 뉴스를 냈다. - 속보 물론 이 사람들도 확실히 알지는 못한다. 그냥 지갑 이동과 거래량을 통해서 추측하고 결론을 내릴 뿐. 뉴스에서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표현하는 느낌과 비슷하다. - 이들이 조사한 순자산 이동 자금의 이동을 보면 테라 생태계로부터 중앙화, 탈중앙화거래소로 유출된 자금이 약 60억달러다. 한화로 약 7.5조라고 보면됨. 기간은 위 Net flows라고 적혀있듯 2020년 10월부터 2022년 5월 5일까지다. 반면 2020년 10월부터 2022년 5월 5일까지 테라 생태계로 유입된 개미..

코인 이야기 2022.06.04

박태준이 800억에 빌딩 실내 모습 및 살 수 있었던 이유

과거 얼짱시대의 박태준은 현재 웹툰 작가이자 유튜버로 활동하고 있다. 채널 이름이 만신 박태준인데, 이런걸보면 박태준 대표는 정말 그 시대의 트렌드를 타고 날아다니는 느낌이다 얼짱이 유행했을 때는 얼짱시대에 나와 유명세를 얻고 아보키라는 패션 브랜드를 만들어 큰 수익을 얻었었다. 그리고 보세 업체가 시들시들할 때쯤 웹툰으로 넘어가 외모지상주의, 인생존망같은 웹툰들로 인기를 끌었고, 회사도 설립했다. 현재는 유튜버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최근 강남의 빌딩을 박태준주식회사 이름을 800억에 매입하였음. 이 빌딩의 내부나 전체적인 디자인에 관해서는 만신 박태준 유튜브 채널에 올라와있다. 이 빌딩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 61-3에 있고 3월 11일 790억원에 매입한 엠포리아빌딩이다. 지하 2층, 지상 15층..

일상 생각 2022.06.03

미그놀렛님의 비트코인 온체인 데이터 분석 : 이미 축적은 시작됐다

사람이 항상 맞을 수는 없는 법이다. 그렇기에 본인 관점을 중심으로 두고 다른 사람의 관점을 참고하는 것 오늘 소개해드릴 관점은 자주 공유했었던 미그놀렛님의 관점이다. 결론은 이미 사이클상 축적에 돌입한지 꽤 됐다는 것 글래스노드라는 데이터 분석 사이트가 있다. 커뮤니티를 좀 하다보면 온체인 데이터라는 걸 들어봤을텐데, 그냥 지갑, 비트코인 물량의 움직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손해중인지, 손절했는지, 매수세는 어떤지 등 시장의 움직임을 분석한 데이터다. STH-LTH Cost Basis Ratio라는 지표가 있는데, STH는 short term holder라고해서 단기보유자를 의미하고 LTH는 long term holder라고해서 장기보유자를 의미한다 사이클의 고점일 때(2017년 12월, 2021년 ..

코인 이야기 2022.06.01

앞으로 비트, 알트코인 3일간 무빙 예상하는 글

아이즈원조유리라는 아이디 쓰는 분이 계신데, 주로 차트 위주로 분석하는 분이다. 이제 나는 차트를 엄청 따라가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참고하지 않지만 이 분은 참아야될 때랑 진입해도 괜찮을 타이밍을 잘 보는 느낌이어서 올려봄 개인적으로 물린 코인들 중 잡코인은 본절혹은 그보다 살짝 위에서 다 정리할 예정이다. 현재 기준 평단이 너무 높고, 다시 바닥 테스트도 생각해봐야할 것 같음. 평단이 높으면 내 진입이 잘못됐다는 뜻이니 일부는 정리해서 다시 포트폴리오를 짤 필요가 있다. 비트 도미 충분히 올랐고 도미차트 상단저항 자리 부근임 여기서 비트는 기영이 차트 그리면서 도미 2~3일정도 살짝 내주면서 개패놓은 알트 회복줄 가능성이 농후함 보통 기영이차트의 끝은 올린거 다빼는 경우가 허다했음 (다빼기전에 구라양..

비트코인 21K 이하 바닥을 보는 관점

개인적으로 나는 과거 차트 모양을 이용한 분석(프랙탈)을 별로 신뢰하지 않는다. 애초에 차트 분석하는 사람들의 포지션 보유 기간과 내 보유 기간이 너무 달라서 그런 듯. 서로 다른 방식의 매매를 하고 있다보니 참고가 전혀 안된다. 그래도 이번 관점은 코인판에서 나름 인기있길래 퍼와봄 저번하락패턴과 현재하락패턴 90프로일치 하락 abc 파동 진행중 18년과거하락장에서 방어력강하던 이더리움폭락이후 비트코인도 얼마못가 하락하였음 대응 : 단기반등구간에서 비트 이더 저배숏진입 , (호재나올시 저배숏진입금지-단기진반등) -현재 남은호재 etf 제외 시장반응없음(사실상불가) 21000달러이하까지 현물 분할매수 (예상 악재- 크레이그소송,테더usdt단기이슈 등) (21k 17k 사이 진반등이후 1개월~2개월 단기 반..

비트코인 최저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관점

트위터를 보면 항상 다양한 관점을 볼 수 있다. 오늘 소개해볼 관점은 비트코인 사이클 상 최저점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관점이다. 비트코인을 홀딩한지 6개월 ~ 7년 미만인 물량의 비율이 60%를 막 넘었음 지금까지는 이 비율이 60^~80% 사이에서 비트코인 최저점이 나왔다. 최저 가격이 얼마일지는 예측 불가능하지만, 반감기 사이클 관점상 하락장이 중반 이상 지나갔고 이미 비트코인 축적 구간에 돌입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장기투자자들의 비율이 늘다가 점점 그 물량을 매도하며 줄이기 시작하는 때가 보이는데, 지금까지는 그 때가 상승장 사이클의 시작이었다. 워낙 팔아야할 물량이 많으니 조금 가격이 올랐을 때부터 최고점까지 쭉쭉 파는 듯 물론 그 상승장이 2017년처럼 길수도, 2019년처럼 짧을 수..

하이먼 민스키 차트로부터 배워야할 점은 차트 모양이 아니다

하이먼 민스키 차트 매우 유명하다 처음에는 현명한 투자자, 기관투자자들이 천천히 매집한다 그리고 대중이 참여하면서 급격히 자산 가격이 오르고, 그 후 공포스럽게 투매가 이어진다. 여기서 우리가 중요하게 봐야할 것은 차트 모양이 아니다. 커뮤니티보면 매일 차트 갖다대면서 차트 모양보라고, 앞으로 떡락할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우리가 하이먼 민스키 모델로부터 배워야할 것은 어떤 투자자가 그 자산을 갖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이다. 왜 자산 가격이 오를까? 변동성에 굴하지않고 오래 보유할 장기 투자자들이 그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 그 자산이 유망하고 좋은 사업을 펼치고 있을 때, 수익이 날 것으로 기대될 때 투자자 종류와 어우러져 자산 가격은 오른다. 그럼 급격히 오른 자산 가격은 왜 떨어질..

코인 이야기 2022.05.25

라이트코인 업비트 빗썸 유의 지정 이유

라이트코인이 오늘 업비트와 빗썸에서 유의 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 이유는 한국 정책과 맞지 않아서 최근 라이트코인은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를 진행했고, 밈블웜블 확장 블록 업그레이드가 활성화 되었다. ㆍ라이트코인(LTC) 라이트코인(LTC) 재단에서 금번 진행한 네트워크 업그레이드(version 0.21.2)를 통해 라이트코인 네트워크 내 2,265,984 블록에서 밈블윔블(MimbleWimble Extension Blocks, MWEB) 확장 블록 업그레이드가 공식적으로 활성화 되었습니다. 밈블윔블(MWEB) 확장 블록 업그레이드 내용으로는 라이트코인 네트워크의 확장성 향상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핵심 항목으로는 거래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 강화된 ‘익명 전송(Confidential Transaction)’..

코인 이야기 2022.05.23

부산대 CPA 불법 컨텐츠 공유 논란

부산대에서 CPA를 공부하는 학생들이 불법으로 인터넷 강의를 공유하였다고 함 문제는 지적한 사람을 뭐라하고, 본인들은 아무 잘못 없다. 애초에 불법이 아니다 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돈이 없어서 이런 불법의 유혹에 빠지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누군가 이를 지적하였다면, 잘못했다고 인정하며 고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일 것이다. 하지만 익명이라고, 집단이라고 하여 지적한 사람을 몰아세우며 역으로 공격하는 행위는 지성인이 해서는 안될 행위다. 확실히 지적한 사람의 말대로 불법행위를 당당하게 말하는 것은 회계사가 가질 자질이 아님 하지만 부산대 CPA 준비 단톡방에서는 이런 일들이 번번히 일어나고 있음 1. 모두가 다 하고 있는데 왜 너만 지랄이냐? 본인 신념은 본인만 지키고 남들에게 강요말라 (불법행위 저지르지 ..

일상 생각 2022.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