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생각

돈있다고 행복하지 않지만 돈이 없으면 무조건 불행하다

일상 생각

내 머리속에 때려박고 세뇌시켜야할 부자 마인드 5가지

Mr.프리드먼 2022. 2. 13. 20:37

나는 정말 많은 블로그들을 구독하고 있다.

 

유튜브도 분명 좋은 컨텐츠이긴 하지만, 긴 영상을 다 보기에는 시간이 너무 아깝다.

 

그래서 글 읽는 편을 선호하는 편.

 

오늘도 부자 마인드에 관한 좋은 글을 발견하여 정리해볼까한다.

 

항상 얘기했듯 같은 글이라도 반복해서 읽어 내 뇌 구조를 바꿔야한다. 세뇌시켜야한다.

1. 부자들의 마인드 흡수

 

평소 돈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며 사는지 많이 접하자. 인터넷의 발달로 유튜브, 블로그, SNS 등을 통하여 큰 돈을 들이지 않고 이들의 마인드를 엿볼 수 있다.

 

이들의 마인드를 엿보다 보면 공통적인 부분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런 마인드를 중심으로 내 것으로 흡수하고 실행하자. 같은 컨텐츠라도 계속 읽다보면 무엇인가 보인다.

2. 1등 기업의 지분 모으기

 

젊을 땐 가진 것이 노동력밖에 없다. 부자들 대부분은 젊을 때 건강한 몸뚱이를 굴려서 노동 소득보다 더 크게 오르는 자본 소득을 만들어내려고 노력한 사람들이다. 지금 당장 몸뚱아리를 굴려서 현금을 마련하고, 토지, 노동, 자본 3가지를 함께 굴리는 1등 기업의 지분을 모아가야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결국 1등 기업이 나머지 기업을 잠식하며 독점력을 발휘한다. 이 독점력이 발휘됐을 때 기업의 지분이 나에게 주는 수익률(배당, 주가의 성장)은 어마어마해진다.

 

물론 전략을 바꾸어 미래 가치가 유망하고, 아직 저렴한 주식을 위주로 모으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단, 이 경우 더 큰 노력이 필요하긴 하다.

3. 자본주의 사회는 빚으로 돌아가는 사회임을 이해하자

 

어릴 때 수많은 교육으로 인해 부채 = 위험한 것이라는 인식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는 빚으로 돌아가는 사회다. 빚을 통해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빠른 성장이 가능하다. 아니 오히려 빚이 없다면 평범하게 사는 것 조차 힘들 정도로 세상이 바뀌었다.

 

부채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각자 처한 상횡에 맞게 유이자/무이자 부채를 활용해 시드를 늘려보자. 물론 안좋은 상황이 도래했을 때 부담되는 빚부터 먼저 청산하고싶겠지만, 그 부채가 좋은 부채인 경우 부담을 느끼며 당장 갚을 필요 없다. 여기서 좋은 부채란 부동산, 주식같이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늘어나는 등 일을 하는 자산을 말한다.

 

총 자산 = 순자산 + 부채란 사실을 이해하고 총 자산을 키워가는데 부채란 꼭 필요한 수단, 도구임을 깨달아야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자본주의에 대한 두려움이 아닌 자본주의 시스템을 어떻게 잘 이용해먹을지에 대한 고민이다.

3. 투자는 곧 체력싸움이다.

 

좋은 마인드가 있어야만 좋은 투자 성과를 낼 수 있다. 좋은 투자 마인드가 없다면 다양한 사람들의 심리가 오가는 자본주의 시장에서 필히 패한다.

 

당신은 좋은 자산을 장기보유할 체력이 있는가? 변동성에 불안해하며 오르면 오른다고 매도하고, 내리면 내린다고 매도하지 않는가?

 

결국 가장 큰 수익을 얻는 것은 단타가 아닌 좋은 자산의 장기 보유다. 좋은 투자 마인드를 본인 뇌에 세뇌시키며, 운동으로 기초 체력을 늘리자. 건강한 몸 또한 정신력에 도움을 준다.

4. 무조건 상위 10% 안에 드는 법

 

누군가 어떻게 하면 몸이 좋아질지 물어봤을 때 '팔굽혀 펴기 100번, 윗몸 일으키기 100번, 스쿼트 100번, 런닝 10km 매일 반복하라'고 답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그걸 누가 몰라 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아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다르다. 실제로 90% 정도의 사람들이 매일 뭔가를 꾸준히를 못한다. 버티지를 못한다. 매일 꾸준히 뭔가 하면서 버틴다면 그것만으로도 상위 10%에 들 수 있다.

 

물론 꾸준히 하려면 그것이 재밌어야한다.

5. 투자의 기본은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다.

 

경험치가 부족할수록 어쩔 수 없이 실패하게 되어있다. 이 때는 수익금보다 수익률에 집중해야한다. 당장 큰 돈을 넣어 큰 수익을 얻으려하지말고, 수익률부터 늘려야한다. 수익률이 높아진다는 것은 본인의 실력이 늘었다는 것이기때문.

 

처음엔 감정에 이끌려 자주 손해보겠지만, 이러한 경험들은 투자할 때 큰 자산이 된다. 본인이 얼마나 손해에 무덤덤한지, 매수할 때 어떤 근거로 매수했는지, 내가 산 자산이 왜 오르고 있는지 혹은 왜 떨어지는지, 시장분위기는 어떤지 를 파악한다면 점점 자신만의 원칙이 생긴다.

 

이 원칙이 생기고 지키다보면 리스크는 줄어들고 수익률이 늘어날 것이다. 물론 시간이 흐를수록 이 원칙도 흐름에 맞춰 바뀌어야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