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생각

돈있다고 행복하지 않지만 돈이 없으면 무조건 불행하다

일상 생각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긴장 사태 요약

Mr.프리드먼 2022. 2. 12. 11:05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긴장감에 미 증시와 비트코인이 하락세를 보였다.

현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들이 우크라이나 전 지역 여행 금지 발령하고 있는 상황

며칠 전까지만 해도 여행금지 조치까지는 취하지 않았지만, 최근 알게모르게 상황이 더 급박해진 모양이다.

2월 15일 현재 최신 뉴스. 러시아 일부 본 부대로 복귀 시작


사실 미국에서 일어나는 전쟁이 아니기에 시장이 공포에 떨면 오히려 기회다.

전쟁은 항상 하는 당사자들만 손해이기 때문.
(큰 규모의 전쟁은 항상 큰 경제적 손실을 불러온다)

러시아는 생각보다 잘 사는 나라가 아니다

https://jaejaljaejal.tistory.com/426

 

우크라이나군이 친러시아 반군의 루간스크 지역 포 공격 악재

결론 : 자국 내 반군 공격이라 러시아와 직접적인 마찰은 없어 보임 20220217 오후 7시 17분 현재 친러시아 반군들이 루간스크 지역 마을을 향해 포격을 했다고 떠도는 사진인데 누가 댓글로 예리하

jaejaljaejal.tistory.com

그래서 전쟁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고 본다.

*특히 중국은 대피권고 안내림.

물론 국소적인 대립은 조금씩 발생할 수 있음.

어떻게 이런 상황까지 도달했는지, 전쟁이 진짜 일어날 수 있는지 요약한 글 있어 공유해본다.


제목 : 러시아 - 우크라이나 사태 간략히 설명해줌

원인은 돈임.

우크라이나는 원래 하나의 땅덩이가 아니었고, 애초에 우크라이나라는 나라로 모인 역사도 짧음. 게다가 소련 붕괴되고 나서 소련땅 일부가 우크라이나로 병합되었고,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는 러시아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

당연히 우크라이나 동부 = 친러 성향이지.

우크라이나는 2013년 이전 친러정부 시절에 경제난을 겪고 있었음. 당시에는 러시아와 서방 모두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약속했음. 그래서 당시 국론이 러시아와 서방 양쪽으로 심각하게 분열됐고 결국 정권 붕괴로 이어짐. 하지만 서방에선 애초에 우크라이나를 도울 생각이 없었음. 말만 한 것.

우크라이나 가스회사는 바이든 당시 미국 부통령(우크라이나 문제 담당) 아들인 헌터 바이든을 연봉 수십억을 주고 명함을 파줌. (곽상도랑 곽상도 아들과 같은 케이스) 미국은 우크라이나를 전복시킨뒤 나토 가입 시켜서 러시아 → 유럽 에너지 시장을 조절함으로써 유럽 안보를 해결하고 싶었음. 하지만 나토는 안받아줬음. 에너지는 경제문제지만 나토 가입은 외교 문제기 때문.

우크라이나를 거치지 않는 가스관을 만드는 중

러시아는 유럽에 천연가스를 팔고 있음. 후쿠시마 사태로 유럽(특히 독일)이 탈원전 하면서 러시아 천연가스를 난방용으로 많이 삼.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가스관은 우크라이나를 지나감. 우크라이나는 여기에서 통행료를 받아왔음.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서방 손에 떨어지자 가스관 사업에 차질이 생길것을 전망하고 유럽을 해상으로 연결하는 가스관을 새로 만듬. 독일 입장에서도 우크라이나 따위에 통행료 안주고 가스 공급 받을수 있기 때문에 손해볼 게 없었음.

그런데 그 다음 대통령이 트럼프가 됨. 그래서 우크라이나 문제는 '일시 정지' 됨. 트럼프는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면서 국제 분쟁에 개입하지 않으려 했기 때문. 트럼프는 계속 유럽 국가들에게 나토 분담금 증액을 요구했지만, 유럽 놈들은 듣는 척도 안했음. 왜냐면 아쉬운건 미국이지 유럽이 아니거든. 여기서 유럽은 서구권, 영프독 같은 애들임. 러시아가 코앞인 동유럽 애들은 상황이 달랐지.

그런데 왜 이게 다시 문제가 됐냐면, 바이든이 대통령이 됐고, 러시아의 가스관 노드스트림2가 완공이 됐음. 이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쪽은 미국, 특히 바이든임. 왜냐면 아들을 우크라이나 가스회사에 넣고 미국 지원금을 빌미로 거액을 받았기 때문. 여기엔 더 이야기가 있는데, 우크라이나는 가스관 말고도 우크라이나에서도 천연가스가 나옴. 미국 계획은 이걸 개발해서 유럽에 공급하려던 것.

클릭하면 쿠팡으로 이동합니다.

미국은 어떻게든 러시아의 가스관이 열리는 것을 막아야 하는 입장. 그래서 독일을 압박해서 가스관을 열지 못하게 하고 있음. 그러자 러시아가 무력시위에 나선 것임. 이게 핵심. 즉 이 문제는 노드스트림2를 승인하면 일단은 해결 됨. 물론 우크라이나는 큰 정치적 댓가를 치르게 될 예정.
출처 : https://coinpan.com/free/287351753


제목 : 현 사태 정리해준다(긴글)

EU랑 벨라루스 대치가 시발점이었음

1. 난민 문제로 NATO에서 협박 시작

2. 벨라루스측 러시아에 SOS요청

3. 군사배치 스타트

여기서 부터 시작이 됨

폴란드 : 이거 빼박 푸틴이 뒤에서 시킨거다

EU 러시아 말로할때 방빼라

러시아 : EU랑 벨라루스 협상부터 끝내라

이와중에 구소련 소속이었던 우크라이나에 미국이 NATO가입 권유

우크라이나 이게 왠떡 오케이 할라하니까 러시아 입장에선 ㅈ같은거임

왜냐면 사실상 NATO 가입국이랑 인접한 국경이 기존에 비해 엄청나게 확대되는거임

여기까지가 러시아 vs NATO 대립 각이고

여기에 뜬금없이 중국이 끼어들기 시작함

최근 러시아랑 손잡은건 뉴스 찾아보는 우리 주식게이들은 다 알꺼고

얘네가 갑자기 손잡은 이유는 탈 달러화를 추진중인 국가가 여럿 있음

그중에 대장은 중국이지

미국은 현 채권이 한계치에 도달 직전

미국 채권의 16% 들고있는 중국은 항상 저걸 무기로 미국을 협박했었음

근데 미국은 디폴트 하면 그만 이라는 식으로 대응해서 가뜩이나 사상도 다르고 빡쳐있는 상태였지

그런데 러시아가 저지랄 하니까 미국에서 달러 결제망 셧다운한다 얘기했을때

짱깨들이 이거다 싶었던거지

너네 결제망 막히면 위안화로 조지자

위안의 세계적 통화량을 늘리면서 위안의 가치를 상승 시킬 좋은 기회인거지

위안 가치가 상승하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미국이 중국에 갚아야할 돈도 늘어나는거야

그러니까 어떻게 했어

아 이거 하면 진짜 조지겠다 싶어서 빤스런 한거지

더이상 러시아를 군사적인게 아닌

다른 무엇으로 멈출수 있는 최후의 보루마저 막힌상태에서

미국이 취할수 있는 행동은 없는거야

뿐만아니라 호주랑 에너지 전쟁중에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들은 중국에게 엄청난 큰 힘이 된거지

그러니 러시아는 더더욱 기세등등해진거고

저 둘이 손잡기 시작하니까

기존 우크라이나만 위험했던 문제가

대만으로 까지 퍼져버린거지

그 결과 미국의 대응은

지중해 뿐만 아니라

대만까지도 위협을 받기 시작한다 판단한 미국은

동아시아 전역에 병력을 강화해야만 했지

여기까지가 오피셜이고

내 사견을 추가하자면,

러중 연합에 인도 또한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

중국 인도 분쟁이 작년 일인데 뭔소리냐 할수도 있겠지만

비교적 최근인 g20회의에서 탄소 배출량을 가지고 언쟁이 일어났는데

2050년까지 제로로 만들자가 대다수 국가 의견이었지만

러중인 3개국은 그거 합의 못한다 라고 선언했어

특히 타 국가대비 아직 엄청난 성장을 하고있는 중국 인도입장에선 반발이 있을수 밖에 없는거지

지구를 위해 탄소배출 줄이는거 좋지

근데 지들은 다 쓰고 발전해놓고 이제 우리도 발전을 시작하는데 이걸 막아? 이런 느낌인거지

인도 미국은 군사협력관계라 사이가 좋다고 생각하지만

인도의 적국인 파키스탄에 무기를 판매중인 미국이 달갑지 못했고

러시아와의 관계 역시 좋았던 상태였고

러시아에서 중인 분쟁을 중재하고 탄소배출문제를 명분삼아 연합을 이룰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해

이 외에도 남미국가 여럿은 이미 친중에 가까운 국가가 많아서 중러 연합에 낑길것같아

미국은 선례를 남길수 없어서 물러서지도 못하고

현상황에서는 강력 대응도 힘들꺼라 판단됨

어찌될지는 모르겠지만

작게보면 한반도 역사상 100년간 전쟁이 없던적이 없었고

넓게 보더라도 최근만큼 평화로웠던 적은 없었기에

그 어느때 보다 전 지구적으로 전쟁 위기가 고조된거같아

주식이고 채권이고 잔고고 나발이고

제발 평화롭게 마무리 하기를 바람
출처 : https://gall.dcinside.com/m/stockus/2646670

 

현 사태 정리해준다 (긴글) - 미국 주식 갤러리

EU랑 벨라루스 대치가 시발점이었음난민 문제로 NATO에서 협박 시작벨라루스측 러시아에 SOS요청군사배치 스타트여기서 부터 시작이 됨폴란드 : 이거 빼박 푸틴이 뒤에서 시킨거다EU 러시아 말로

gall.dcinside.com

 

반응형